아는게 돈이다

경조사란 무엇인가

한량5678 2022. 4. 24. 09:35

먼저 종류 나열

한국인들끼리 

1. 반드시 챙기기

2. 가능하면 챙기기

3. 딱히 안 챙겨도...

 

1. 장례식

2. 결혼, 출산, 백일? 돌잔치?

3. 직장 동료 생일

 

가장 애매하고, 

가장 지출이 많고, 

개운하게 주지 못하는 돈

축의금

 

구조

1. A가 결혼한다. B, C, D가 10만원씩 준다. 

2. A는 감사히 받는다. 밥값으로 절반정도 나가고, 

나머지 반 정도는 결혼이라는 이벤트를 위해 

필요한 목돈에 보탠다.

 

1. 참석 안 하고 5만원만 이체한다. 

밥값 안 나가고, 생활에 보탠다. 

상부상조 문화

두레. 품앗이. 십시일반

 

But 5만원씩 100명이면

500만원인데.....

 

스스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?

 

무엇보다 30분짜리 결혼식을 치르느라 

차가운 뷔페를 먹느라

5만원이 낭비되고 있다. 

결혼식장만 배불리는 사업구조

주말마다 서로가 서로를 괴롭히는 "시간"도 무시하지 못한다.

 

진심을 다해 축하해주자.

너무 멀면, 통화 5분이 더 낫다고 본다. 

안 왔다고 서운해 한다면?

그정도로 단절될 친구관계라면 이게 어쩌면.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