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수급자가 배달 알바하면? 배민커텍트, 쿠팡이츠하면 알바인가요? 사업소득인가요? 근로소득 공제, 사업소득 공제 받나요?

한량5678 2025. 5. 27. 09:44

이 비디오는 배달의 민족 커넥트나 쿠팡이츠 배달 알바를 하는 수급자의 소득이 근로소득인지 사업소득인지, 그리고 관련 세금 공제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.

  • 근로소득 (아르바이트): [01:18]
    • 소득 구분: 근로소득
    • 형태: 고용 계약을 맺고 회사에서 정해진 시간에 일함
    • 급여 지급: 시급, 일급 등으로 받음 (갑근세 원천징수)
    • 세금: 원천징수 (3.3% 소득세 + 4대 보험)
    • 4대 보험: 사업장 가입 (건강보험, 국민연금, 고용보험, 산재보험)
    • 연말정산: 회사가 해줌 (직장인처럼 처리됨)
    • 장점: 퇴직금 등 복지 가능
    • 단점: 시간 자유도 낮고, 고용 계약이 필요함
  • 사업소득 (개인사업자 또는 프리랜서): [01:53]
    • 소득 구분: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
    • 형태: 배달 대행 플랫폼 (배민커넥트, 쿠팡이츠 등) 통해 본인이 직접 일함
    • 급여 지급: 건별 수수료 정산
    • 세금: 3.3% 원천징수 (소득세 + 지방소득세) 후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
    • 4대 보험: 본인이 선택해서 가입해야 함 (지역가입자로)
    • 연말정산: 해당 없음 →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
    • 장점: 자유로운 근무, 수익에 따라 절세 가능
    • 단점: 세금과 보험을 본인이 직접 관리해야 함
  • 배민커넥트의 경우: [02:39]
    • 고용 계약이 아닌 사업 계약에 해당함.
    • 배민커넥트 라이더는 회사의 직원으로 고용되는 것이 아니라, 독립적인 프리랜서로서 배달 업무를 수행하는 형태임.
    • 따라서 일반적인 근로자와는 다른 세금 및 보험 적용이 적용됨.
  • 세금 관련 추가 정보: [03:52]
    • 배달 알바 소득은 사업소득에 해당하며,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함.
    • 3.3% 원천징수된 세금을 제외하고 소득세 외에 건강보험, 산재보험 등을 고려하여 세금을 납부해야 함.
  • 플랫폼 노동자의 특징: [04:41]
    • 근로자인 경우: 업체에서 업무 지시 및 감독, 출퇴근 관리, 4대 보험 및 고용보험 가입, 배달 대행 업체에서 월급 지급 등의 특징이 있음.
    • 프리랜서(사업자)인 경우: 일감만 받고 3.3% 원천징수하는 형태임.
  • 수급자의 경우: [05:30]
    • 월 소득이 일정 금액 이상이거나 근무 시간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수급비에 영향을 줄 수 있음.
    • 따라서 배달 커넥트 활동은 사업소득에 해당하므로, 세금 및 보험 적용 사항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동하는 것이 중요함.

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?

 

 

https://youtu.be/7PrtbkiQ3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