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-
-
생계급여와 주거급여만 신청했을때는 자녀들 금융동의서 제출하지않아도 되나요?카테고리 없음 2022. 9. 7. 14:14
생계급여와 주거급여만 신청했을때는 자녀들 금융동의서 제출하지않아도 되나요? A. 네 맞습니다. 주거급여는 :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 되었으니 부양의무자(자녀, 며느리, 사위, 부모)의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필요 없고, 어떤 조사도 하지 않습니다. 생계급여는 : 연봉 1억, 일반재산 9억 기준이 남아있습니다. 소득은 국세청 등 공적 자료를 조회하고 일반재산 (아파트, 토지 등)는 국토부 자료를 조회합니다. 금융정보 제동 동의서를 작성하면 - 은행, 증권사, 보험사 등 금융기관에 있는 예금, 주식, 보험 등 금융재산을 조회합니다. 헌데 생계급여는 - 일반재산 (부동산 등) 만 확인하고 - 금융재산은 상관하지 않습니다. 그래서 결론 : 네 생계급여, 주거급여만 신청하실 거면 자녀들의 금융 동의서 필요 없습니다..
-
생계급여와 주거급여 수급자인데요 수술했을때 혜택이 없나요?카테고리 없음 2022. 9. 7. 09:55
질문과 답변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수급자인데요 수술했을때 혜택이 없나요?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의료급여 1종, 2종이면 본인부담금 중 급여는 혜택이 매우 크다 (비급여는 의료급여도 본인이 낸다) 생계급여, 주거급여 수급만 받을 때는 병원, 약값에서는 일반인과 같다. = 건강보험 자격자다. (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, 피부양자) 다만 수술이라고 하시기에 저소득층 수술비 지원이 되는 제도 알려드립니다. 긴급복지지원 의료지원 https://youtu.be/tDBb1F0wt7w
-
의료급여 아닌 수급자, 피부양자 자격 요건 확인카테고리 없음 2022. 9. 6. 11:42
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[시행 2022. 9. 1.] [대통령령 제32894호, 2022. 8. 31., 일부개정] https://www.law.go.kr/LSW//lsLinkProc.do?lsNm=%EA%B5%AD%EB%AF%BC%EA%B1%B4%EA%B0%95%EB%B3%B4%ED%97%98%EB%B2%95+%EC%8B%9C%ED%96%89%EB%A0%B9&chrClsCd=010202&mode=20&ancYnChk=0#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[시행 2022. 9. 1.] [보건복지부령 제907호, 2022. 9. 1., 일부개정] https://www.law.go.kr/LSW//lsInfoP.do?lsiSeq=244551&ancYd=20220901&ancNo=00907&efYd=20220901&nwJ..
-
수급자 쌀(나라미) 팔다 걸리면 어떻게 되나?카테고리 없음 2022. 9. 5. 11:22
https://www.mafra.go.kr/mafra/366/subview.do?enc=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3MSUyRjMyOTYwMiUyRmFydGNsVmlldy5kbyUzRnJnc0VuZGRlU3RyJTNEJTI2YmJzT3BlbldyZFNlcSUzRCUyNnBhZ2UlM0QxJTI2cm93JTNEMTAlMjZwYXNzd29yZCUzRCUyNnJnc0JnbmRlU3RyJTNEJTI2YmJzQ2xTZXElM0QlMjZzcmNoQ29sdW1uJTNEJTI2aXNWaWV3TWluZSUzRGZhbHNlJTI2c3JjaFdyZCUzRCUyNg%3D%3D
-
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제도란?카테고리 없음 2022. 9. 2. 15:48
https://youtu.be/8eRTWL3eTzw - YouTube www.youtube.com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제도란? 진료비 본인부담이 높은 아래 5개 질환에 대해 본인부담금을 경감해주는 제도 1. 중증질환자 : 뇌혈관 질환 2. 희귀질환자 : 유전성 제8인자결핍 3. 중증난치질환 4. 중증치매 5. 본인부담면제 결핵 0. 혜택 가. 급여 (O) 나. 비급여 (X) 중 급여 비용을 5%, or 10%만 부담 ex) 암으로 2천만원 병원비가 나오면? 100만원 납부 0. 신청방법 병원에서「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 신청서」를 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요양기관에 등록 신청 0. 비교 - 산정특례 : 건강보험 공단 혜택 -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: 건강보험 공단 혜택 - 의료급여 : 국민기초 수급, 정..
-
LH전세임대 vs LH매입임대 차이점카테고리 없음 2022. 8. 31. 10:28
0. 공통점 - 기초수급, 차상위 등 저소득층 - 매달 내야하는 금액이 10~15만원 주거급여로 전액 커버 가능 - 관리주체 : LH 토지주택공사 - 계약 : 2년 단위 0. 차이점 가. 집 구하기 - 전세 : 민간 주택, 본인이 구해야함 - 매입 : LH 소유 건물(주로 빌라)에 들어감 나. 보증금 - 전세 : 본인이 빌린 금액의 5% 정도 1억 빌리면, 500만원 - 매입임대 : 300만원 ~ 500만원 다. 집 형태 - 전세 : 아파트, 빌라, 주택 마음대로 - 매입 : 주로 빌라 라. 대기기간 (신청부터 입주까지) - 전세 : 심사3개월, 집구하기 3개월 - 매입 : 입주자 모집이면 3개월 예비 입주자 모집이면 3년
-